[root@add569b63cd9 /]# ifconfig

eth0: flags=4163<UP,BROADCAST,RUNNING,MULTICAST>  mtu 1500
        inet 172.17.0.5  netmask 255.255.0.0  broadcast 0.0.0.0
        ether 02:42:ac:11:00:05  txqueuelen 0  (Ethernet)
        RX packets 2760  bytes 14864251 (14.1 MiB)
        RX errors 0  dropped 0  overruns 0  frame 0
        TX packets 2179  bytes 121306 (118.4 KiB)
        TX errors 0  dropped 0 overruns 0  carrier 0  collisions 0

lo: flags=73<UP,LOOPBACK,RUNNING>  mtu 65536
        inet 127.0.0.1  netmask 255.0.0.0
        loop  txqueuelen 1  (Local Loopback)
        RX packets 1  bytes 28 (28.0 B)
        RX errors 0  dropped 0  overruns 0  frame 0
        TX packets 1  bytes 28 (28.0 B)
        TX errors 0  dropped 0 overruns 0  carrier 0  collisions 0
  • inet : IP주소
  • netmask: 넷마스크?
  • broadcast : 브로드캐스트 주소?
  • ether : MAC 주소를 나타내는 것 같다.?

  • (Ehternet): 장치에 사용중인 프로토콜이 Ethernet임을나타낸다

  •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

    • UP :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음

    • BROADCAST : 브로드 캐스트 사용

    • RUNNING : 동작중

    • MULTICAST : 멀티 캐스트 사용

  • RX/TX : 받은 패킷/전송한 패킷의 총 개수(packets), 그 중 에러가 발생한패킷의 수는 errors에, 그냥 버린 패킷의 수는 dropped, 손실된패킷의 개수는 overruns에 표시 된다.

  • collisions: 충돌 이 발생한 패킷의 수

  • Interrupt : Ethernet 카드가 현재 사용중인 IRQ

  • Base address : Ethernet 카드가 현재 사용중인 주소

RX packets:190307 errors:0 dropped:0 overruns:0 frame:0

TX packets:29555 errors:0 dropped:0 overruns:0 carrier:0

RX packets -&gt; 수신패킷으로 받은 패킷이죠.

TX packets -&gt; 송신패킷으로 보낸 패킷이죠.

errors -&gt; 나쁜 패킷이라는 뜻이며, 정의파일 내용에선 "bad packets received" 표현됩니다.

dropped -&gt; linux buffers에 공간이 없어서 버려진 패킷. "no space in linux buffers" 표현됨

overrun -&gt; FIFO 즉, 버퍼가 꽉차서 버린 패킷들입니다.  
                이더넷이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자료가 오고감으로써 손실된 패킷의 갯수임.

frame -&gt; 정의파일에선 "recv'd frame alignment error"라고 표현됩니다. 맨아래 추가설명 참조

carrier -&gt; 간략히 말하면 보내기 전 모니터링을 했는데 누군가 보내고 있었다는 내용임.

results matching ""

    No results matching ""